본문 바로가기

핫클릭!

서프라이즈 15만원 탈취사건 " 그들의 희생은 길이 남았다"


김지운 감독의 영화 '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'(놈놈놈)의 모티가 된 영화는 고(故) 이만희 감독의 '쇠사슬을 끊어라'이다. 30년대 만주에서 나라를 빼앗긴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라고 한다.비록 시대적 배경은 '쇠사슬을 끊어라'란 영화를 보고 구상했지만 진짜 모티브가 된 사건은 다름 아닌 1920년 만주 용정에서벌어진 '15만원 탈취사건'이라고 한다. 이 15만원 탈취사건이 궁금해졌다.

KBS예능'1박2일'에도 언급된 적 있는 용정(대성) 중학교, 이곳은 홍범도, 서일 장군 등 수많은 독립지사는 물론 우리에게도 익숙한 윤동주 시인까지 명문학교로 잘 알려져 있다.현재 대성학교 옛터는 '룡정 독립운동 기념관'으로 바뀌어 운영되고 있는다고 하는데 그곳에 가면 볼 수 있는 것이 바로 '15만원 탈취의거' 사건이다.


 나라를 잃은 민족이 만주라는 타향살이에서의 달콤한 환상과 위험한 현실을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건이라고도 하는 15만원 탈취사건은 일본으로부터 15만 원을 탈취한 사건이라고 한다. 하지만 결말은 좋지 않았다.아니 참담했다..

-->

당시 용정은 무장투쟁을 꿈꾸는 독립군들의 집결지가 되어가고 있었다고 한다.독립군 군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조선총독부가 조선은행 회령지점에서 용정출장소로 '반일투쟁탄압경비'조로 15만원을 수송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게 되는데 당시 최신 소총 한 정이 30원이었다고 하니 15만원은 독립군 5000명을 단번에 중무장시킬 수 있을 정도의 거금이었다.

의거에 참여한 인물은 최봉설, 임국정을 비롯해 윤준희, 박웅세, 한상호, 김준 등 6명.이들 6명의 독립운동가는 매복하고 있다가 현금수송마차를 습격하여 5명의 무장 호송대를 사살하고15만원을 탈취하는데 성공한다.  

이들은 이 돈을 3만정의 중고 소총을 구매하는 사용할 계약이었다. 계약 직전단계에서 엄인섭이란 사람을 만나는데 엄인섭이란 사람은 안중근 의사와 함께 활약했던 명망 있는 독립운동가로 알려져 있었다 그래서 믿을 만 했나 보다. 하지만 엄인섭은 변절해 일본의 첩자였다. 그의 배신과 밀고로 최봉설 등 5명을 체포하는 데 열을 올린다.

 .

최봉설외 탈출에 성공하였으나 나머지는 붙잡혀 서울 서대문형무소,청진감옥으로 이송됐다고 한다. 한 사람의 배신으로 우리 대한민국 사람 약 500명이 빛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. 엄인섭...후..

왼쪽의 사람?이 엄인섭이다. 역사를 보면 조선인 배신자에 의해 많은 의인들이 참혹한 죽음을 맞이했다. 내가 그 시대를 살아 보지 못하였지만 어찌 나라를 배신 할 수 있는지. 더구나 한 사람의 배신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했다. 참담하다.

현재 15만원 탈취사건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기념비가 세워진 상태다. 당연한 처사다. 생각 할 수록 화가 난다. 변절자 없이 한 마음으로 항일투쟁을 했다면 아마도 대한민국의 독립시기는 좀 더 앞당겨 질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자꾸만 들기 때문이다. 잊지 말아야 겠다. 현재의 내가 있는 사실은 과거의 얼굴도 혹은 이름도 알지 못하는 분들의 희생이 있었다 사실을 말이다.